반응형
일반적으로 NAS를 처음 설치하고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는다면 IP 할당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로 설정이 되어 자동으로 IP를 가져옵니다.
그런데 IP를 자동으로 가져오게 되면 공유기의 전원이 껐다 켜지거나, NAS의 전원이 껐다 켜지거나 하면 IP를 다시 가져오게 되는데 자동으로 IP를 가져오기 때문에 그때 IP가 바뀔 수도 있습니다.
IP주소가 바뀌면 기존에 설정해 두었던 원격 접속이나 NAS에 연동된 기기들은 모두 아이피가 바뀐 대로 다 다시 설정해줘야 하는 귀찮은 일이 생기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NAS를 사용할 때는 DHCP를 해제하고 IP를 고정해야 하는 것입니다.
우선 시놀로지 관리 대시보드로 접속해서 [제어판]에 들어갑니다.
네트워크 관련 설정이니 당연히 [네트워크] 로 들어가야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로 들어갑니다.
현재 연결되어 있는 LAN이 표시됩니다. 저걸 선택하고 [편집]을 누릅니다.
[수동 구성 이용]에 체크를 하고 원하는 아이피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나서 [확인]을 눌러서 적용하면 됩니다.
이렇게 아이피 주소가 설정한 대로 나오고 [DHCP 사용 : 아니오]로 DHCP가 해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소프트웨어 >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이 안될때, 나만 안되는지 확인하는 방법 (0) | 2024.11.22 |
---|---|
MSCOMCTL.OCX 에러 해결 방법 (0) | 2024.11.22 |
엣지브라우저 이전 웹 기술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해결방법 (0) | 2024.11.22 |
유튜브 채널 추가하는 방법 (0) | 2021.06.16 |
알고 있으면 유용한 한글 단축키 (0) | 2021.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