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드웨어/팁29 아수스 공유기 Download Master, 컴퓨터 켜지 않고 토렌트 다운로드 토렌트를 다운받을 때 속도가 느리거나 시드가 없어 하루 종일 컴퓨터를 켜 놓아야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일 하나 받자고 컴퓨터를 하루 종일 켜 놓으면 시간도 낭비, 전기도 낭비 여러 부분에서 낭비가 발생합니다. 그럴 때 공유기의 토렌트 다운로드 기능을 사용하면 컴퓨터를 켜지 않아도 토렌트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USB를 꽂아서 간이 NAS를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공유기와 적당한 용량의 USB 메모리만 하나 있으면 됩니다. 제가 알려드릴 방법은 ASUS 인터넷 공유기에서 사용하는 방법인데, 아수스 공유기에는 간이 NAS를 사용할 수 있다면 Download Master(다운로드 마스터)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토렌트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피타임 공유기도 USB 부가기능 중.. 2021. 6. 16. 팟플레이어 AMD 플루이드 모션(Fluid Motion) 설정 방법 플루이드 모션은 AMD의 라데온 그래픽카드에서 제공하는 프레임 보간 기술입니다. 프레임 보간이란 것은 낮은 초당 프레임의 영상에서 프레임 사이사이에 가상의 프레임을 몇 개씩 집어넣어서 프레임을 뻥튀기 시켜주는 것을 말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그러면 24프레임이나 30프레임 원본 영상보다 훨씬 부드러운 움직임이 구현됩니다. 꼭 AMD의 그래픽 카드가 아니더라도 AviSynth 필터를 이용해서 프레임 보간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CPU자원을 너무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최소 i5이상의 CPU를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에서만 원활하다는 것이 문제였습니다. 플루이드 모션은 이 작업을 라데온 GPU를 통해서 처리함으로서 CPU 자원을 많이 사용하지도 않고 품질도 뛰어납니다. 이 플루이드 모션 하나.. 2021. 6. 16. AMD APU 내장그래픽 메모리 2GB 수동 설정하는 방법 레이븐 릿지 APU는 AMD의 라데온 베가 그래픽이 포함된 프로세서입니다. 아무것도 건드리지 않았을 때 바이오스에서 VRAM (비디오 RAM)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만 자동으로 놓았을 때 1GB로 잡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VRAM 사용량이 1GB를 초과하면 성능이 떨어집니다. 오버워치같은 그다지 사양을 타지 않는 게임도 1GB를 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VRAM 할당 설정을 수동으로 조절해서 더 늘려주고 성능이 떨어지지 않게 해줘야 합니다. 먼저 컴퓨터를 켜고 Delete 버튼이나 F2 버튼을 눌러서 UEFI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애즈락 메인보드의 경우는 [고급 → AMD CBS → NBIO Common Options → GFX Configuration]에서 [Integrated Graph.. 2021. 6. 15. 넷기어 공유기 프린터 공유 설정 방법 USB 포트가 달려 있는 넷기어 공유기는 간이 NAS 및 프린터 공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린터 공유는 유선랜, 무선랜이 없어 네트워크 프린터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구형 프린터에서 사용 가능하며, 유선랜이나 무선랜으로 네트워크 프린터 기능이 지원되는 프린터는 그냥 프린터 자체의 네트워크 프린터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낫습니다. 우선 192.168.1.1 공유기 관리 페이지로 들어가서 [ReadySHARE] 메뉴로 들어간 다음 ReadyShare 프린터를 체크합니다. 참고로 ReadyShare 메뉴에서는 간이 NAS, 프린터 공유 등 USB 포트로 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ReadySHARE 프린터를 누르면 엉뚱한 페이지가 나옵니다. 저 주소로 들어가서 뭘 다운로드하라고 설명이.. 2021. 6. 15. 넷기어 R7000 일본판(R7000 100JPS) 지역 설정, 지역 락 풀기 일본판 넷기어 R7000은 저렴한 가격에 구할 수 있지만 지역 락이 걸려 있어 일본 전파법에 따라 5G 무선 채널을 일본에서 사용하는 두 자릿수 채널로만 바꿀 수 있습니다. 또한 무선 출력도 좋지 않아서 먼 거리까지 무선이 잘 닿지 않습니다. 무선 지역을 다른 나라로 바꾸려고 해도 일본판은 락이 걸려 있어 쉽사리 풀 수 없습니다. 무선 설정에서 지역 부분이 아예 회색으로 클릭할 수도 없습니다. 따라서 지역을 일본으로 하고 그대로 쓰던가, 아니면 멀린펌을 올리던가 해야만 했습니다. 그러나 지역 락을 풀면 정식 펌웨어에서도 지역 설정이 가능합니다.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지역 락을 풀 수 있습니다. 이렇게 처음에는 무선 설정에 지역 선택이 일본으로 고정되어 있고 회색으로 처리되어 있어 클릭할 수조차도 없습니.. 2021. 6. 15. 애즈락(Asrock)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애즈락(Asrock) 메인보드 바이오스(BIOS) 업데이트 방법입니다. 메인보드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할때는 컴퓨터 전원이 업데이트 도중에 꺼지지 않게 항상 주의해주셔야 하며, 무엇보다도 업데이트 후에 새로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지금 사용하는 데 별 이상이 없다면 업데이트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도스에서 업데이트하는 방법도 있고, 윈도우에서 업데이트하는 방법도 있고, 바이오스에서 Instant Flash를 통해서 업데이트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간편하고 오류가 적은 방법이 Instant Flash를 통해서 업데이트 하는 것입니다. 우선 바이오스 파일을 다운로드받아서 USB나 하드디스크(포맷은 Fat32로 되어있어야 합니다)에 저장해 두어야 합니다. 바이오스 파.. 2021. 6. 15. SSD 수명 이야기 - 저장 방식, MTBF, TBW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는 재기록 횟수가 한계가 있습니다. 플래시 메모리의 최소 저장 단위를 '셀'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셀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지우고 그 자리에 다시 쓰는 횟수가 정해져 있다는 말입니다. 이 한계를 넘게 되면 그 셀은 더 이상 저장할 수 없습니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 SSD도 마찬가지입니다. SSD는 이러한 문제를 '웨어 레벨링(Wear-Leveling)'이라는 기술을 통해 여러 셀을 돌아가면서 기록하게 만들고, '오버 프로비저닝(Over Provisioning)'기술로 총 용량의 약 7% 정도를 수명이 다한 셀을 대체할 수 있도록 여분으로 남기는 방법으로 해결합니다. 현재는 SSD가 고용량화되고 수명을 늘려줄 웨어 레벨링, 오버 프로비저닝 기술도 진보하면서 수명 문제는 많이 사.. 2021. 6. 15. 기가 인터넷 공유기 넷기어 R7000 멀린펌 설치 방법 넷기어의 공유기는 아수스와 함께 고급 공유기로 꼽히지만 기본 펌웨어가 많이 부족합니다. 디자인 자체는 알록달록하고 정리가 잘 되어 있어서 문제가 없는데 정작 세밀한 설정은 부족하고,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고 끌 수 있는 WOL(Wake on Lan) 기능도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넷기어 공유기를 사용한다면 기본 펌웨어를 버리고 커스텀 펌웨어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넷기어의 R7000을 사용하고 있는데, 넷기어 R7000에 설치할 수 있는 커스텀 펌웨어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바로 멀린펌입니다. 멀린펌은 기본적으로 인터페이스는 asuswrt 기반이라 아수스의 공유기와 똑같고, 설정도 비슷합니다. R7000과 같은 스펙의 아수스 공유기 RT-AC68P인데, RT-AC68P와 거의 비슷해집니다. 링.. 2021. 6. 15. SSD, USB 메모리 저장방식, SLC, MLC, TLC 알아보기 SSD, USB 메모리, 메모리 카드는 낸드 플래시(NAND Flash) 메모리를 사용한 저장 장치입니다. 낸드 플래시를 사용한 저장장치는 기존의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와 비교하여 더 많이 저장할 수 있고, 속도도 빠르고 무엇보다도 소형화가 가능해서 널리 보급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가격이 비싸 고용량 제품 보급이 늦은 편이었지만 같은 공간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MLC, TLC, QLC 저장 방식이 순서대로 개발되면서 가격대는 점점 내려가고 대용량화도 가능해졌습니다. 새로운 저장 방식이 개발되면서 동일 공간에 더 많은 자료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지만 저장 방식에 따라 장단점이 분명히 존재하고 무엇보다도 쓰기 수명의 차이가 큽니다. 우선 가장 먼저 사용.. 2021. 6. 15. 아수스(ASUS) 공유기 간이 NAS 설정 방법 아수스 공유기에서 간이 NAS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아수스 공유기 RT-AC68U를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지만 같은 회사면 인터페이스가 비슷비슷하기 때문에 같은 방법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먼저 공유기 USB 포트에 저장 장치를 꽂습니다. USB 메모리도 되고 외장하드도 됩니다. 뭐든 간에 저장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됩니다. NTFS로 포맷하는 것을 권합니다. 인터넷 창에 192.168.50.1 또는 router.asus.com 을 입력하여 공유기 설정 페이지로 들어옵니다. USB부분에 64GB짜리 메모리 하나가 들어가 있는 것이 확인됩니다. 연결되어 있는 저장 장치를 뺄 때는 설정 페이지에서 안전하게 디스크 제거 버튼을 눌러주고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왼쪽 메뉴에서 USB 애플리케이션.. 2021. 6. 15. 아수스(ASUS) 공유기 DDNS 설정 및 외부망 접속 방법 내부망이 아닌 외부망에서 나의 집에 구성되어 있는 공유기의 내부망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아이피를 직접 입력해서 공유기 내부망에 접속해야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대부분 유동 IP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이피가 수시로 바뀌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유기의 DDNS 설정을 해서 DDNS 도메인을 내 공유기로 받는 아이피로 연결해 주는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입니다. 만들어 놓은 DDNS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외부망에서 내 공유기의 내부망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공유기 제조사들이 자체 DDNS 서버를 갖추고 있어 무료로 DDNS 도메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아이피타임과 아수스도 역시 자체 DDNS 서버를 갖추고 있어 무료로 DDNS 도메인을 만들어서 DDNS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개념도.. 2021. 6. 15. LCD 모니터 패널 종류과 특징 총정리(TN, VA, IPS) 모니터 기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패널 기술입니다. 보통 모니터를 볼 때 제조사가 제시하는 대략적인 스펙만 보고는 잘 알 수 없으며 마케팅의 목적으로 스펙이 뻥튀기 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용중인 패널의 기술을 이해하면 전반적인 모니터의 성능과 모니터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실제로 판매되고 있는 패널의 종류와 세부적인 특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TN Film (Twisted Nematic + Film) TN 패널은 오랫동안 데스크톱 모니터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19인치 이하의 작은 크기의 모니터에서는 거의 TN 패널이 독점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28인치에서도 여전히 TN 패널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TN 패널은 삼성, LG, AUO같이.. 2021. 6. 1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