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하드웨어/팁29

그래픽카드 서멀 구리스 다시 바르는 방법 CPU와 그래픽카드는 발열이 상당한 부품이기 때문에 그 열을 식히기 위해 GPU 위에 구리나 알루미늄으로 된 히트싱크와 쿨러가 올라가게 됩니다. 하지만 히트싱크와 CPU, GPU 표면이 100% 밀착될만큼 매끄럽지는 않기 때문에 그 사이를 메꿔서 밀착시켜 주기 위한 물질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서멀 구리스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서멀 컴파운드라는 말도 맞는 말입니다. 둘 중 어떤 말을 써도 상관 없습니다. 그런데 서멀 구리스는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굳어서 말라붙게 됩니다. 굳어버린 서멀 구리스는 당연히 효과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서멀 구리스를 이따금씩 다시 발라줘야 합니다. 그래야 발열 해소에 도움이 되고 냉납 현상을 예방하여 그래픽카드를 오래 쓸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그래픽카드 GP.. 2021. 6. 14.
하드 디스크 선택 방법 HDD(Hard Disk Drive, 하드디스크)는 오랫동안 컴퓨터와 함께 해온 보조 기억 장치 중에 하나입니다. 하드디스크는 용량은 크지만 가격은 저렴하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SSD에게 그 자리를 점점 넘겨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은 용량 대비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살아남고 있습니다만 플래시 메모리의 집적도도 무서운 속도로 향상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조만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물건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사실 돈이 문제라 그렇지 지금도 마음먹고 플래시 메모리 모듈을 때려박으면 SSD도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고용량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용량 대비 가격 부분에서는 SSD가 하드디스크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 엄연한 사실입니다. 하드디스크 또한 새로운 기.. 2021. 6. 14.
키보드 멤브레인, 기계식, 펜터그래프, 플런저 특징과 차이점 컴퓨터를 사용할때 대표적인 입력도구 중 하나가 바로 키보드입니다. 키보드는 컴퓨터 사용에 있어서 필수품이며, 키보드가 없으면 컴퓨터가 있어도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주된 용도가 입력이라는 것은 같지만 키보드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구동 방식으로 구분해보면 그 중에서도 기계식, 멤브레인, 팬터그래프, 플런저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기계식 기계식 키보드는 독특한 키감으로 주목받고 있는 키보드입니다. 기계식 키보드들이 최근 들어서 상당히 주목받고 있지만 사실 기계식 키보드는 70년대부터 사용된 상당히 유서 깊은 방식입니다. 하지만 후에 생산이 쉽고 단가가 낮은 멤브레인 방식 키보드가 널리 보급되면서 기계식 키보드는 키보드 시장에서 비주류로 밀려났다가 2010년도 이후에 유행을 타고 많이 .. 2021. 6. 14.
하드 디스크 기록 방식 CMR, LMR, PMR, SMR 특징과 차이점 하드 디스크를 제조사들은 하드 디스크의 저장 용량을 늘리기 위해 끊임 없이 노력해 왔습니다. 그리고 그 노력은 기록방식을 변화시켜 기록 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록방식의 변화에 따라 하드 디스크는 조금씩 그 특성이 변했습니다. 하드디스크를 선택하실때 가격이 얼마인지, 용량이 얼마인지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중요하게 생각하셔야 할 것이 바로 데이터 기록 방식입니다. 데이터 기록 방식을 기준으로 CMR(일반자기기록), SMR(기와식자기기록)로 구분되며, 데이터 기록 방향을 기준으로 LMR(수평 자기 기록), PMR(수직 자기 기록)로 구분됩니다. LMR(Longitudinal Magnetic Recording, 수평 자기 기록방식) 수평 자기 기록방식은 플래터 표면에 자기 입자들을 수평.. 2021. 6. 14.
컴퓨터 원격으로 켜기 WOL(Wake On Lan) 기능 사용하기 WOL(Wake On Lan) 기능을 설정하여 원격으로 컴퓨터를 켜는 방법입니다. 최근 많은 공유기와 컴퓨터가 WOL(Wake On Lan) 기능을 통한 원격 컴퓨터 전원 ON/OFF를 지원합니다. 공유기 DDNS 기능을 함께 이용하면 집 안이 아니라 집 바깥에서도 통신사 데이터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켜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용합니다. 추가로 시작 프로그램에 원하는 프로그램을 넣어 두면 바깥에서 원격으로 컴퓨터를 켜지게 한 다음 바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게 만드는 것도 가능합니다. WOL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랜카드가 WOL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무선 랜카드는 WOL 기능을 사용할 수 없으니 무선으로 사용중이신 분들은 유선으로 바꿔 주셔야 합니다. 장치 관리자 → .. 2021. 6. 14.
기계식 키보드 축 종류와 차이점(청축, 적축, 갈축, 흑축) 기계식 키보드는 키마다 스위치가 하나씩 들어 있어 키를 누를때 스위치가 작동하여 입력되는 방식의 키보드입니다. 키감이 좋고 쓰는 재미가 있어서 최근에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런데 기계식 키보드는 한 가지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같은 기계식 키보드라도 스위치의 종류에 따라서 키감과 타건음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기계식 키보드의 스위치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계식 키보드의 스위치는 '축'이라고도 하며 구동 방식에 따라 크게 청축, 적축, 갈축, 흑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네 가지 스위치 이외에도 여러 스위치들이 있으며, 같은 색의 스위치라도 생산하는 회사에 따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기계식 키보.. 2021. 6. 14.
아이피타임 공유기 DDNS 설정 방법 아이피타임 공유기 DDNS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Extender 같은 무선확장기를 제외하고 대다수의 아이피타임 공유기가 DDNS 기능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용가능합니다. ※ DDNS는 Dynamic DNS(동적 DNS)라는 말로 아이피가 수시로 바뀌는 유동IP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아이피를 갱신하여 DDNS 도메인으로 연결시켜주어 외부에서 DDNS 도메인을 통해 연결 가능하게 해줍니다. 먼저 192.168.0.1을 주소창에 입력하여 아이피타임 공유기 관리 페이지로 들어가도록 합니다.(공유기 내부 IP는 다를 수 있습니다.) 관리 페이지로 들어왔으면 아래 사진처럼 [특수기능] → [DDNS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기본적으로 아이피타임에서 DDNS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호스트 이름에는 주소로 사용.. 2021. 6. 14.
아수스 공유기 프린터 공유 설정하는 방법 아수스 공유기에서 프린터 공유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최근에는 프린터에도 무선 Wi-Fi 기능이 많이들 달려 나오기 때문에 최신 공유기는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 저렴한 프린터나 구형 프린터는 네트워크 기능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때 공유기가 제공하는 프린터 공유 기능을 사용하면 공유기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에서 한 프린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RT-AC68U를 예로 들겠지만 아수스 공유기 펌웨어들은 다들 비슷하기 때문에 꼭 RT-AC68U가 아니더라도 같은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먼저 공유기 뒤에 있는 USB 포트에 프린터를 연결하고 전원을 미리 켜 둡니다. 192.168.50.1 또는 router.asus.com 관리 페이지로 접속하여 USB 애플리케이션 설정.. 2021. 6. 14.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특징과 장단점 우리는 여러가지 이유로 프린터를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프린터들은 이제는 컴퓨터와 함께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품이 되었습니다. 프린터는 열전사 프린터,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도트 매트릭스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만 그 중에서도 우리가 일상에서 많이 보고, 사용하게 되는 프린터는 레이저 프린터와 잉크젯 프린터입니다. 프린터를 저렴하게, 고장 없이 오래 쓰고 싶다면 잉크젯 프린터와 레이저 프린터의 장단점을 알고 본인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잉크젯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는 액체로 된 잉크를 분사하여 종이에 인쇄하는 방식의 프린터입니다. 잉크는 대체로 액체이며, 노즐과 헤드가 포함된 카트리지 형태로 판매됩니다. 흑백 카트리지, 컬러 카트리지가 따로 있고 컬러 카트리지는 적, 황,.. 2021. 6. 14.
냉납이란 무엇인가 - 냉납의 원인과 해결 방법 냉납(Cold Solder)이란 납땜이 정상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녹아서 반도체 칩이 기판에서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냉납 현상은 CPU, 그래픽 카드, 스마트폰 등 납으로 접합되어 있는 모든 전자기기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냉납 현상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크게 3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1. 칩 자체가 너무 뜨거운 경우 2. 납의 양이 너무 많거나 적어서 적절하지 않은 경우 3. 기판 설계 자체가 문제인 경우 특히 냉납 현상은 반도체 아래에 볼납을 얹어 녹여서 접합하는 BGA(Ball Grid Array) 방식으로 만들어진 칩에서 자주 일어납니다. 스마트폰, 그래픽 카드, 노트북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위 사진을 보면 은색 공들이 줄지어 서 있는데, 그게 바로 볼납.. 2021. 6. 14.
SSD 선택 가이드 SSD는 'Solid State Drive' 의 약자이며 보조 저장 장치 중 하나입니다. 이 SSD는 2010년대 PC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SSD가 대중화되기 이전에는 HDD, 즉 하드 디스크를 저장 장치로 주로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 하드 디스크는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동그란 모양의 플래터가 있고 플래터 위를 헤드가 이동하면서 표면에 기록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계가 아무리 빨라 봐야 플래터가 회전하고 헤드가 움직이면서 표면에 일일히 기록하는 물리적인 방식으로는 속도 면에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끊임없이 발전하는 컴퓨터의 성능에 느린 하드 디스크는 항상 발목을 잡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거기다가 내경과 외경의 읽기쓰기 속도의 차이,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모터가 노.. 2021. 6. 14.
조립 컴퓨터 구매하기 전에 유의해야 할 사항 대기업 PC의 비싼 가격 때문에 조립 PC를 선택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컴퓨터를 모르는 분들 중에서도 싼 가격을 이유로 대기업 PC 보다는 조립 PC를 선호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조립 PC 가격도 싸고 좋지만 사기 전에 꼭 유의하셔야 하실 점이 있습니다. ① 정품 박스를 반드시 챙기자. 조립 PC를 샀을 때는 정품 박스를 반드시 챙겨야 합니다. 유통사를 거치지 않고 박스가 없는 벌크 형태로 유통되는 제품들이 있는데 이런 것들은 수입 유통사를 통해서 A/S를 받지 못합니다. 박스 까서 조립해놓으면 박스가 없이는 유통사 정품인지 아닌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몇몇 나쁜 조립 PC 업체들은 이런 벌크 제품을 정품이라며 속이고 파는 경우도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어떤 업체들은 따로 돈을 주면 .. 2021. 6. 14.
반응형